- maxscale
- 웰카
- Galera Cluster
- vmware
- RHEL8
- Network
- banner
- Kubernetes
- port description
- CentOS
- snmp
- wildfly jboss
- Storage
- unix_socket
- CEP
- etcd
- Auth
- dell
- docker
- 우파푸른하늘80만이벤트
- 우파푸른하늘
- n1548
- openldap
- n15148
- mgmtip
- drbd
- mariadb
- MotD
- admin port
- data-door
- perplexity
- web&was apche htaccess
- Path
목록분류 전체보기 (234)
전산쟁이의 기억노트
sda3번 파티션을 iso 리포지터리로 구성 1 $> xe sr-create name-label=”VM-ISO” type=iso device-config:location=/data/iso device-config:legacy_mode=true content-type=iso sda4번 파티션을 OS리포지터리로 구성*구성할때는 반드시 빈 파티션이여야 함. 1 $> xe sr-create content-type=user device-config:device=/dev/sda4 name-label=”VM-OS” shared=false type=ext 출처 - http://igoni.kr/books/linux/page/xenserver-localdisk xenserver localdisk 리포... | igoni...
$> vi /opt/xensource/installer/constants.py ... GPT_SUPPORT=False $> exit 출처 - http://igoni.kr/books/linux/page/xenserver-gpt-disallow xenserver gpt disallow | igoni.kr $> vi /opt/xensource/installer/constants.py ... GPT_SUPPORT=False $> exit igoni.kr
우분투에서 /etc/resolv.conf 파일을 직접 수정하고 네트워크 재시작하면 원래대로 돌아온다… root@ubuntu:/# cat /etc/resolv.conf # Dynamic resolv.conf(5) file for glibc resolver(3) generated by resolvconf(8) # DO NOT EDIT THIS FILE BY HAND — YOUR CHANGES WILL BE OVERWRITTEN 수정해봐야 별 볼일 없다는 뜻…. 영구적으로 적용하려면 해당파일에서 지정할 네임서버의 주소를 입력을 해주어야 한다. $> vi /etc/resolvconf/resolv.conf.d/head nameserver 168.126.63.1 nameserver 168.126.63.2 파일 : ..
패키지 업데이트 방법 $> apt-get update -y $> apt-get upgrade -y 언어셋 설정 $> /etc/default/locale 네트워크 설정 $> /etc/network/interfaces 패키지 찾을때 $> apt-cache search jpeg | more 서비스 데몬 관리 $> sudo apt-get install dialog rcconf -y 우분투 설치후 root 패스워드 설정방법 $> sudo passwd root * 우분투 설치 이후에 root 패스워드는 따로 설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설치한 다음에 root패스워드 설정을 해 주어야 함 출처 - http://igoni.kr/books/linux/page/b2eb7 우분투 몇가지 정보들 | igoni.kr 패키지 업데..
eth0 수동으로 ip설정 및 자동활성화 $> vi /etc/network/interfaces auto eth0 iface eth0 inet static address 192.168.10.10 netmask 255.255.255.0 gateway 192.168.10.1 resolv설정 $> vi /etc/resolvconf/resolv.conf.d/head nameserver 168.126.63.1 nameserver 168.126.63.2 출처 - http://igoni.kr/books/linux/page/6c988 우분투 네트워크 설정하기 | igoni.kr 우분투환경에서 네트워크 설정하기 eth0 수동으로 ip설정 및 자동활성화 $> vi /etc/network/interfaces... igoni.kr
mkdir -p /var/log/pgsql/ chown -R postgres.dba /var/log/pgsql/ vi /usr/local/pgsql/data/postgresql.conf logging_collector = on log_destination = 'stderr' redirect_stderr = true log_directory = '/var/log/pgsql/' log_filename = 'pgsql-%Y-%m-%d_%H%M%S.log' log_rotation_size = 500MB 출처 - http://igoni.kr/books/dbms/page/postgres postgres 로그디렉토리 생성하기 | igoni.kr mkdir -p /var/log/pgsql/ chown -R postgr..
사전정보 컨테이너 기반의 nexus설치 (docker기반의 nexus설치)외에 바이너리 기반으로 nexus설치 절차 작성 설치 버전은 3.310 버전으로 설치 진행 설치 작업 설치파일 다운로드 $ wget https://download.sonatype.com/nexus/3/nexus-3.31.1-01-unix.tar.gz 압축해제 후 설정파일 셋업 $ tar -zxvf nexus-3.31.1-01-unix.tar.gz -C /svc/nexus $ cd /svc/nexus/nexus-3.31.1-01/ #포트 정보 변경 $ vi etc/nexus-default.properties ... application-port=28080 ... #JVM 리소스 변경 $ vi bin/nexus.vmoptions .....
gitlab 설치된 버전정보 확인 # gitlab-rake gitlab:env:info System information System: Current User: git Using RVM: no Ruby Version: 2.6.3p62 Gem Version: 2.7.9 Bundler Version:1.17.3 Rake Version: 12.3.3 Redis Version: 3.2.12 Git Version: 2.22.0 Sidekiq Version:5.2.7 Go Version: unknown GitLab information Version: 12.4.2 Revision: 393a5bdafa2 Directory: /opt/gitlab/embedded/service/gitlab-rails DB Adapter..
사전정보 gitlab설치 - gitlab설치 Gitlab에서 Mirror용 계정은 sync계정이고, root 그룹에 소속되어 있음. (미러링 받는서버에 계정이 생성되어 있어야 함) gitlab 동기화 시간은 매 5분간격으로 동기화 수행함 미러링 구성 전송할 서버 설정 전송할 프로젝트 설정 세부설정값 Git repository URL : 수신 gitlab url (계정명 포함, htp://sync@192.168.100.200:8080/test/test.git) mirror direction : 커뮤니티 버전은 push만 가능 authentication method : Password Password :Mirror Repository 버튼 선택 Mirror Repository 선택 후 동기화 선택 Only ..
테이블 리스트 \dt; 테이블 정보 보기 \d 테이블 이름 테이블 데이터형 변경 postgres=# alter table cities alter column location type varchar(20); 테이블 스페이스 생성 postgres=# create tablespace testdb_space owner testuser location '/usr/local/pgsql/data/testdb'; 해당 경로는 미리 생성이 되어 있어야 하고, postgres, dba의 권한으로 설정이 되어 있어야 한다. DB생성 postgres=# create database testdb owner testuser tablespace testdb; 테이블 생성 testdb=> create table member ( nu..